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FS
- 미래는_현재와_과거로
- Overfitting
- 이분 탐색
- 세그먼트 트리
- DP
- 회고록
- 가끔은_말로
- 백트래킹
- dropout
- c++
- NEXT
- 플로이드 와샬
- lazy propagation
- 가끔은 말로
- 자바스크립트
- 우선 순위 큐
- 2023
- object detection
- 너비 우선 탐색
- 분할 정복
- 다익스트라
- back propagation
- pytorch
- 문자열
- tensorflow
- 크루스칼
- 조합론
- dfs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62)
Doby's Lab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Lfq/btsnZX8aKfx/MRIP1XBc7OOPSW4DcYHhM0/img.png)
📄 Intro '의료 AI'라는 큰 목적에 대해 구체적으로 응용되는 사례들을 알고, 병변 검출(진단 보조) AI 이외의 케이스들을 알고 싶어서 여러 사례들을 정리함으로써 동기부여를 하고자 합니다. 1. Kaggle - RSNA 2022 Cervical Spine Fracture Detection 2. Kaggle - RSNA-MICCAI Brain Tumor Radiogenomic Classification 3. Kaggle - Genentech Cervical Cancer Screening 4. 서울대학교 병원 의생명정보학 연구실 - ECG 데이터를 통한 Embolism 예측 5. 솔루션 보조 목적의 의료 AI 📄 1. Kaggle - RSNA 2022 Cervical Spine Fracture De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sDhcR/btsnhSMfuaJ/0WU1AWk7FJntuOmEbiWha1/img.png)
✅ Intro 모델을 학습시키면서 최적의 결과를 찾기 위해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을 진행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값들에 대한 로그를 따로 문서화시켜 정리하거나 노트를 해두면 편하지만, 이는 간단하면서도 까다로웠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툴, WandB를 알게 되었습니다. WandB(Weights & Biases)는 프로젝트의 실험을 관리하고, 하이퍼 파라미터의 튜닝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하고, 뿐만 아니라 최적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위해 여러 값들을 통해 실험해 볼 수 있는 기능(Sweep)등 여러 편리함들을 제공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초적인 기록에 대해서만 알아보겠습니다. ✅ How (💡 아래 코드는 WandB에서 제공하는 QuickStart의 코드이며, 이번 포스팅에서 ..
최근에 다른 분들 코드 분석을 하면서 알게 된 패키지입니다. 일반적으로 파일을 불러오거나 같은 파일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os 모듈을 사용했었는데 pathlib을 사용하는 케이스를 많이 봐서 전체보다는 주로 사용하는 기능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그리고, pathlib은 파이썬 3.4 이상부터 지원이 됩니다. 1. 객체로 선언 pathlib 패키지에서 Path를 불러와서 아래와 같이 Path()에 파일 경로를 담아 파일 경로를 하나의 객체로 선언합니다. from pathlib import Path file_path = './from/to/here' p = Path(file_path) 2. 문자열이 아닌 객체, os.path.join을 대체하는 연산자 '/' 우선, os와 다른 점은 파일에 대한 경로를..
https://www.acmicpc.net/problem/1788 1788번: 피보나치 수의 확장 첫째 줄에 F(n)이 양수이면 1, 0이면 0, 음수이면 -1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F(n)의 절댓값을 출력한다. 이 수가 충분히 커질 수 있으므로, 절댓값을 1,000,000,00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Level: Silver III Solved By: DP 음수에 관한 피보나치는 기존의 피보나치를 수정하여 간단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구하기 위한 DP를 사용하여 풀 수 있었습니다. 저는 양수 피보나치, 음수 피보나치를 따로 배열을 선언하여 문제를 풀었습니다. #include #include #define MAX 1000001 #define MOD 10..
https://www.acmicpc.net/problem/11909 11909번: 배열 탈출 상수는 2차원 배열 A[1..n][1..n] (n≥2, n은 자연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배열의 각 원소는 1 이상 222 이하의 정수입니다. 배열을 가지고 놀던 상수를 본 승현이는, 질투심이 불타올라 상수를 A[1][1] www.acmicpc.net Level: Gold V Solved By: DP 처음에는 Dijkstra로 풀려고 했었습니다. pair 같은 복잡한 자료형을 만들어서 구현했는데 메모리 초과로 다른 키워드를 생각해내야 했습니다. DP 태그가 달려있어서 DP로도 구현할 수 있겠다 싶었습니다. 제가 생각한 아이디어와 관계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cache\)는 해당 원소로 갔을 때, 최단 경로 값..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MuuG4/btskk9pcMDY/U9Mi5PzLMSLcO270bFKkj1/img.png)
✅ Intro블로그를 보면서 복습 중에 Precison과 Recall이 반비례 관계인 이유가 궁금해졌습니다. 수식적으로 보았을 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다른 관점들을 통해 조금이나마 접근을 다르게 해 보았습니다. https://draw-code-boy.tistory.com/531 mAP (mean Average-Precision)에 대하여일반적으로 Object Detector의 성능이 얼마나 좋은지에 대한 지표로는 mAP가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mAP는 어떻게 도출되는 결과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Precision(정확도), Recall(검출율, draw-code-boy.tistory.com✅ QuestionPrecision(정확도)와 Recall(검출율)에 대한 수식은 아래..
https://www.acmicpc.net/problem/1124 1124번: 언더프라임 자연수 X를 소인수분해하면, 곱해서 X가 되는 소수의 목록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2 = 2 × 2 × 3이다. 1은 소수가 아니다. 어떤 수 X를 소인수분해 해서 구한 소수의 목록의 길이가 소수이면, www.acmicpc.net Level: Silver I Solved By: Miller Rabin, Pollard's Rho 소인수분해를 하는 알고리즘이라면 예전에 공부했었던 Pollard's Rho 알고리즘이 기억나서 코드를 가져와서 소인수 분해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factors vector의 사이즈를 Miller Rabin에 물려서 소수로 판별이 난다면 res 값을 더해주는 식으로 답을 구했습니다. #..
https://www.acmicpc.net/problem/1337 1337번: 올바른 배열 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배열의 원소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원소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 www.acmicpc.net Level: Silver IV Solved By: Implementation 처음에 정렬을 하여 인접한 원소들 간의 차를 활용한다면 규칙이 있을까 했는데 찾을수록 오류가 발견되어 직접 구현해보는 게 아이디어였습니다. 구현이 가능하였던 이유는 원소의 최대 개수가 50개이고, 한 원소당 5가지의 케이스를 고려하여서 시간초과를 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원소를 기준으로 해당 원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