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플로이드 와샬
- 분할 정복
- pytorch
- back propagation
- 가끔은_말로
- object detection
- 크루스칼
- tensorflow
- 가끔은 말로
- 미래는_현재와_과거로
- 조합론
- 알고리즘
- dropout
- 너비 우선 탐색
- 다익스트라
- dfs
- 자바스크립트
- 이분 탐색
- 회고록
- NEXT
- 2023
- c++
- lazy propagation
- 백트래킹
- BFS
- DP
- 문자열
- 우선 순위 큐
- Overfitting
- 세그먼트 트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점화식 (2)
Doby's Lab

아직도 DP의 문제를 푸는 데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다. 그래도 전보다 나아진 것은 다음과 같다. 1. 작은 문제는 무엇이며 이 작은 문제들이 모여서 어떠한 큰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탐색하려 한다. 2. 작은 문제들의 관계성에 중심을 두고 있다. 3. 어느 정도 코드의 구조를 알게 되었다. (감각의 관점) 그래서 이번 문제는 각 정수의 합을 나타낼 수가 몇 개가 있는지 적어보며 관계성을 파악하려 했다. 하지만, 규칙은 알 수가 있어도 어떠한 관계인가?라는 질문에는 정확한 대답을 내놓을 수 없었다. 풀이를 찾아보다가 다음의 풀이를 발견하게 되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jhh0712v&logNo=221470862600 백준 알고리즘 9095번 문제풀..
PS/BOJ
2021. 10. 10. 06:51

DP의 접근 방법이 꽤 어려웠다. 아무래도 점화식을 어떻게 세우는지 접근을 하지 못 했다. (BFS로 풀릴 거 같아서 BFS로 푼 풀이는 맨 아래에 첨부해두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코드를 참고했다. (Bottom-Up 방식)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cache[100001] = { 0, }; int main() { int n; cin >> n; for (int i = 2; i > n; bfs(n); sort(answer.begin(), answer.end()); cout
PS/BOJ
2021. 10. 8.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