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백트래킹
- 가끔은 말로
- pytorch
- NEXT
- 회고록
- 크루스칼
- dfs
- dropout
- 분할 정복
- Overfitting
- 조합론
- 세그먼트 트리
- 이분 탐색
- DP
- 다익스트라
- lazy propagation
- 알고리즘
- 가끔은_말로
- tensorflow
- c++
- object detection
- BFS
- 자바스크립트
- 너비 우선 탐색
- 플로이드 와샬
- 우선 순위 큐
- 미래는_현재와_과거로
- back propagation
- 2023
- 문자열
- Today
- Total
목록유클리드 호제법 (2)
Doby's Lab
https://www.acmicpc.net/problem/14490 14490번: 백대열 n과 m이 :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n, m ≤ 100,000,000) www.acmicpc.net 1) 문자열로 입력받아서 while문을 통해 정수로 바꿔주기 2) stoi()를 이용해 문자열 -> 숫자 3) 유클리드 호제법을 이용하여 최대공약수 구하기 4) 두 수에 나눠준 몫을 출력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gcd(int a, int b) { if (a % b == 0) { return b; } return gcd(b, a % b); } int main() { string value; cin >> value; string a, b; int cnt =..

이 문제는 크게 고민할 필요 없이 백트래킹으로 쌍 구하고, 최대공약수를 구해 더해나가면 되는 문제였다. 하지만 이를 구현했을 때,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 코드 (시간 초과) 백트래킹에서 발생하는 것인지,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함수에서 발생하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하지만, 1,000,000을 넘지 않는 수라면 그에 근접하는 엄청 큰 수들이 100개까지 있다고 생각해보면 몇 쌍들이 생길지 모를뿐더러 거기다가 곱하기 1,000,000을 해준다면 엄청 큰 값이 나와서 시간 초과를 유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함수가 문제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bool visited[101] = { 0, }; vector tw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