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스크립트
- 백트래킹
- NEXT
- 미래는_현재와_과거로
- 문자열
- 세그먼트 트리
- 알고리즘
- pytorch
- 가끔은 말로
- 플로이드 와샬
- 조합론
- DP
- 다익스트라
- back propagation
- dfs
- lazy propagation
- BFS
- 가끔은_말로
- 2023
- c++
- dropout
- 크루스칼
- Overfitting
- 분할 정복
- tensorflow
- 우선 순위 큐
- 이분 탐색
- 회고록
- object detection
- 너비 우선 탐색
- Today
- Total
Doby's Lab
백준 26123번: 외계 침략자 윤이 (C++)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6123
26123번: 외계 침략자 윤이
외계인 윤이는 지구를 정복하고자 세계의 중심 도시인 울산을 침략했다. 울산에는 $N$개의 빌딩이 일렬로 늘어서 있고, 왼쪽에서 $i$번째 건물의 높이는 $h_i$이다. 윤이는 울산을 파괴하기 위해
www.acmicpc.net
Level: Silver IV
Solved By: Priority Queue, Prefix Sum
h값들을 받으면서 MaxHeap(Priority Queue)에 넣어줬습니다. 이유는 레이저를 쏘며 높이를 깎아가는 데에 있어 h-1이 다음 레이저를 쏠 때 높이이기 때문에 높이를 깎는 과정에서도 다음 높이(다음 최댓값)를 알기 위해 우선순위 큐를 사용했습니다. 즉, 우선순위 큐는 현재 깎아야 할 높이가 무엇인가를 알기 위한 용도입니다.
그리고, D만큼만 반복하게끔하여 현재 쏴야 할 높이를 알아냅니다. 높이를 알아냈다면 해당 높이의 건물이 몇 개인지 cntNum으로 알아내고 i번째 cache에 넣어줍니다. 그리고, 높이를 깎았으니 높이에 대한 -1 값을 pq에 push 하고, cntNum[높이 - 1]에도 현재 쏜 건물의 개수만큼 추가적으로 생기기 때문에 높이의 대한 건물 개수를 더해줍니다.
이 과정을 D만큼만 반복합니다.
풀 때 당시에는 DP라 생각하고 풀었지만, 이제 보니 Prefix Sum이었습니다. D만큼 반복하여
cache_N = cache_N-1 + cache_N 다음과 같은 점화식을 통해 문제를 풀 수 있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생각난 거지만 최댓값을 미리 구해두고, 어차피 한 번 쏠 때마다 1씩 깎이기 때문에 굳이 우선순위 큐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거 같았습니다.
+ 다른 분들의 코드를 봤더니 max_element 함수를 대부분 사용하신 걸 봤습니다. 까먹고 있던 함수인데 공부해봐야겠습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stack>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define FASTIO ios_base::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define ll long long
#define MAX 300001
using namespace std;
int N, D;
ll cntNum[MAX];
ll cache[MAX];
struct cmp{
bool operator()(int a,int b){
return a < b;
}
};
int main(){
FASTIO
cin >> N >> D;
priority_queue<int, vector<int>, cmp> pq;
for(int i = 0, a; i < N; i++){
cin >> a;
if(!cntNum[a]) pq.push(a);
cntNum[a]++;
}
for(int i = 0; i < D; i++){
if(pq.empty()) continue;
int h = pq.top();
if(h == 0) break;
cache[i] = cntNum[h];
pq.pop();
if(pq.top() != h - 1) pq.push(h - 1);
cntNum[h - 1] += cntNum[h];
}
for(int i = 1; i < D; i++){
cache[i] = cache[i - 1] + cache[i];
}
cout << cache[D - 1];
return 0;
}
'PS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125번: 두 도로 (C++) (0) | 2022.11.30 |
---|---|
백준 26124번: 조명 배치 (C++) (2) | 2022.11.28 |
백준 26122번: 가장 긴 막대 자석 (C++) (0) | 2022.11.27 |
백준 6185번: Clear And Present Danger (C++) (0) | 2022.11.23 |
백준 17134번: 르모앙의 추측 (C++) (0) | 2022.11.23 |